케이씨피드 주가전망 투자 분석 리포트
📅 분석 기준: 2020년 ~ 2024년 연간 재무제표
1. 기업 개요
케이씨피드는 배합사료 제조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으로, 축산 및 농업 산업에 안정적인 사료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곡물 원가에 민감한 구조로 인해 글로벌 농산물 시세에 큰 영향을 받으며, 최근에는 고부가가치 사료 제품 개발 및 해외 진출 확대 전략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2. 수익성 분석
📊 핵심 지표 (2024년 기준)
- 매출총이익률: 21.50% (전년 대비 +2.61%)
- 영업이익률: 7.86% (전년 대비 +1.33%)
- 순이익률: 6.81% (전년 대비 -0.44%)
- ROE: 9.47% (전년 대비 -0.52%)
- ROA: 6.94% (전년 대비 +0.32%)
- ROIC: 9.45% (전년 대비 +0.39%)
📌 해석:
- 매출총이익률과 영업이익률 모두 상승하며 원가 절감 또는 제품 믹스 개선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됨
- 순이익률은 소폭 감소했지만 ROA와 ROIC는 개선, 자산 운용 효율성은 유지됨
- ROE는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두 자릿수에 가까워 자본 대비 수익성은 양호한 수준
3. 성장성 분석
📊 핵심 지표 (2024년 기준)
- 매출액 증가율: 11.21% (전년 대비 +6.58%)
- 영업이익 증가율: 33.85% (전년 대비 +9.58%)
- 순이익 증가율: -46.64% (전년 대비 -54.40%)
- 총자산 증가율: 3.21% (전년 대비 -1.42%)
- 자기자본 증가율: 6.78% (전년 대비 -0.82%)
📌 해석:
- 매출과 영업이익은 강하게 성장 중이나, 순이익은 전년 고점 효과로 큰 폭 감소-
- 원가 외적인 비용 증가, 일회성 비용 발생 가능성 검토 필요.
- 자산과 자기자본 모두 소폭 증가하며, 외형 성장 기반은 유지되고 있음.
4. 안정성 분석
📊 핵심 지표 (2024년 기준)
- 부채비율: 43.54% (전년 대비 -5.47%)
- 유동부채비율: 39.79% (전년 대비 -6.10%)
- 비유동부채비율: 3.74% (전년 대비 +0.63%)
- 이자보상배율: 4.53배 (전년 대비 +0.30배)
📌 해석:
- 부채비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재무 안정성이 뚜렷하게 개선됨
- 유동부채비율도 40% 미만으로 유지, 단기 유동성 리스크 낮음
- 이자보상배율이 상승하며 이자지급 여력 강화됨
5. 활동성 분석
📊 핵심 지표 (2024년 기준)
- 총자산회전율: 1.02배 (전년 대비 +0.07)
- 매출채권회전율: 5.92배 (전년 대비 +0.21)
- 재고자산회전율: 7.63배 (전년 대비 -0.29)
- 매입채무회전율: 47.26배 (전년 대비 -40.16)
📌 해석:
- 총자산 및 매출채권 회전율 상승, 자산 및 채권 활용 효율 증가
- 재고자산 회전율은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양호한 수준
- 매입채무회전율 급감은 단기적인 납품 조건 변화나 외부 요인의 반영일 수 있음
✅ 매입채무회전율 (Accounts Payable Turnover Ratio) 정의: 기업이 외상으로 상품이나 원재료를 구입한 뒤, 그 외상(매입채무)을 얼마나 자주 갚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쉽게 말하면 “외상값을 얼마나 빨리 갚는지” 보는 것.
- 공식: 매입채무회전율 = 매출원가 / 평균 매입채무
🔍 매입채무회전율이 급감했다는 뜻?
1) 외상값을 갚는 속도가 느려졌다는 뜻
예전엔 외상값을 자주 갚았는데, 이제는 천천히 갚고 있다는 것
2) 현금 유동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신호일 수 있음
돈이 부족해서 외상값을 늦게 갚는 건 아닌지 의심해볼 수 있음
3) 반대로 거래처와의 결제 조건이 느슨해졌을 수도 있음
외상 기일이 길어져서 굳이 빨리 갚지 않아도 되는 상황일 수도 있음
4)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주의 깊게 봐야 할 시점
회전율이 너무 낮아지면 신용도가 떨어져 공급처가 불안해할 수 있음
6. 종합 평가 및 투자 판단
✅ 긍정적인 요소
- 영업이익률 상승, 고정비 대비 수익성 개선
- 부채비율 안정화, 유동성 위험 낮음
- 자산 회전율 및 ROIC 개선, 운영 효율 증가
❌ 부정적인 요소
- 순이익 급감, 일회성 손익이나 세금 영향 가능성 검토 필요
- 매입채무회전율 급락, 거래처 관리나 공급망 리스크 점검 필요
- ROE 하락은 자본 성장 대비 순이익 감소 영향
🔎 투자 결론
📌 수익성 개선과 안정성 강화를 이룬 기업이지만, 순이익 감소 원인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한 시점
케이씨피드는 외형 성장과 영업이익률 개선,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바탕으로 중장기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다만, 순이익 감소 원인과 그 지속 여부에 따라 단기 투자 전략은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 추천 전략
- 순이익 감소 원인 분석: 일회성 비용인지, 구조적 수익성 하락인지 확인
- 재무 및 공급망 리스크 모니터링: 매입채무 회전율 변화 추적
- 중기 투자 포지션 고려: 영업이익률 상승 및 안정적 자산운용이 장점
케이씨피드 주가전망 차트 분석
✅ 1. 월봉 차트 분석
- 패턴: 2012년 9월 7,861원 고점을 기록한 뒤 장기 박스권 조정 구간. 최근 2024년 말~2025년 초 급등세 포착됨
- 이동평균선: 5월선이 장기 이평선(20, 60, 120월선)을 돌파하는 초기 상승 흐름. 정배열이 본격화될 가능성
- OBV: 장기적으로 우상향이며, 최근 다시 수직 상승. 과거 매집 구간에서의 장기 보유자들이 아직 유지 중인 모습
✅ 2. 주봉 차트 분석
- 패턴: 2024년 하반기 횡보세 이후 2025년 초 급등(1월 고점 3,840원). 이후 조정을 받았으나 다시 반등 시도
- 이평선: 5주선이 20주선 상단에서 지지 중이며, 60·120주선과도 근접. 정배열 가능성 열림
- OBV: 2025년 들어 급격한 상승. 거래량 폭증과 동반되며, 단기 매집 신호로 해석 가능
✅ 3. 일봉 차트 분석
- 패턴: 8월 저점(2,120원) 이후 천천히 반등, 3월 들어 거래량 동반 급등. 1월 고점 재도전 흐름
- 이평선: 5일선이 20일선 위에서 움직이며 단기 강세 흐름. 60일선 돌파는 아직 진행 중
- OBV: 최근 강한 수직 상승. 거래량과 함께 봤을 때 뚜렷한 단기 매수세 유입 판단
📊 기술적 종합 판단
1) 강세 신호 :
장기 박스권 돌파 시도
OBV 월·주·일봉 모두 상승세
단기 급등 후 눌림목에서 재차 상승 가능성
거래량 증가 동반
2) 약세 요소 :
고점 부근(3,800원대) 매물 부담 존재
단기 급등 이후 조정 시 지지선 테스트 가능성
📌 요약
케이씨피드는 장기간 조정을 거친 뒤 최근 거래량과 OBV가 동시에 폭발하며 박스권 돌파를 시도 중인 종목입니다. 과거의 강력한 고점 매물대를 소화할 수 있다면 중기적 시세 분출도 기대되는 흐름이며, 기술적으로는 3개월 내 30% 이상 상승 가능성이 유효해 보입니다.
'종목공부 및 투자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라테크 주가 전망 I 투자지표 및 차트 분석 (1) | 2025.04.03 |
---|---|
현대공업 주가 전망 I 29% 수익 이후 2차 차트 분석 (1) | 2025.04.02 |
클리오 주가 전망 I 투자 지표 및 차트 분석 (0) | 2025.03.25 |
팬오션 주가 I 투자 지표 및 차트 분석 (0) | 2025.03.20 |
현대공업 주가 I 기업 투자지표 및 차트 분석 (0) | 2025.03.19 |